나도 시인이 될 수 있다 . 2 나도 시인이 될 수 있다 정영자(문학평론가, 신라대 국문과 교수) 생각하는 것과 말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때가 있다. 최동호 교수는 생각하기와 말하기를 능숙하게 일치시키는 사람이 유능한 시인이라고 하였다. 생각에만 집착한다면 관념적인 시를 쓸 것이며, 말하기에만 집착한다면 요설적인 시.. 創作벽장 2007.08.15
나도 시인이 될 수 있다 나도 시인이 될 수 있다 정영자(문학평론가, 신라대 국문과 교수) 1. 詩는 무엇인가 ① 언어로 씌어진 문학의 장르.(정서와 운율적 언어를 통하여 인생을 표현) ② 기쁨이나 슬픔, 사랑과 같은 감정을 그 긴장된 상태에서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짧은 진술을 통해 표현한 단형의 운율적인 글. 그러나 시는 .. 創作벽장 2007.08.15
현대시의 시작법 - 시의 구조와 행·연 현대시의 시작법 - 시의 구조와 행·연 1.시의 행과 연 시의 구조는 행과 연을 나눠볼 수 있다. 행은 단어, 구, 절 또는 그것들의 연합으로 구성되고, 연은 하나의 행 또는 행의 연합으로 구성된다. 김춘수는 시의 행과 연이 이루워지는 이유를 세가지로 들고 있는데, 리듬의 단락, 의미의 단락, 이미지의.. 創作벽장 2007.08.06
지식은 시가 아니다 / 황금찬 [詩論] 지식은 시가 아니다 / 황금찬 수평선을 바라보면 두 개의 세계가 전개된다. 한 가지는 수평선 이쪽 세계 즉 눈으로 보는 세계와 또 하나 수평선 너머 세계 즉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이다. 이 보이는 세계를 기록하면 보고서가 되고 그 보이지 않는 세계를 체험에 싣고 상상으로 쓰면 시가 되는 것.. 創作벽장 2007.08.06
올바른 詩 감상 올바른 詩 감상 한 편의 아름다운 시는 사람의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줍니다 한 편의 시에서 받은 감동은 일생을 두고 그 사람의 감성을 조율하기도 합니다 이만한 큰 힘을 가진 시 이러한 시를 접하면서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우선 시를 읽는태도이다] 독자들은 흔히 시를 읽으면서 자신.. 創作벽장 2007.08.06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 테즈 휴즈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 테즈 휴즈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3.기후와 계절의 변화.. 創作벽장 2007.08.06
퍼소나란? 퍼소나란? 퍼소나는 고전극에서 배우들이 사용하는 '가면'을 가리키는 라틴어였다. 여기서 극의 등장인 물을 지칭하는 "극적 퍼소나(dramatis personae)"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결국에는 영어 작품 에서 특정의 개인을 가리키는 '퍼슨(person)'이 유래하게 되었다. 최근 문학 논의에서 '퍼소 나'는 흔히 실화체 .. 創作벽장 2007.08.06
시를 쓰기 전에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벽파 김철진 1. 시를 쓰기 전에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나는 詩를 쓰겠다고 찾아오는 분들을 만나면, "왜 시를 쓰려고 하십니까?" 라는 어리석은 질문을 제일 먼저 던집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왜 시를 쓰려고 하십니까?" 詩人이 되시려고요? 그냥 시가 좋아서요? 아니면 다른 이유라도......? 어떤 대답이든 .. 創作벽장 2007.08.06
장르 2 장르의 일반론(내용상) 장르의 기본형은 서정양식, 서사양식, 극양식을 말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의 시학에서부터 규정지어진 것이다. 근대 이후에는 서정양식이 서로 변화되었고, 서사양식 이 서사시에서 소설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극양식은 시극에서 희곡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 創作벽장 2007.08.06
장르 1 장르의 일반론(형식상) 형식상의 분류 현대시조 자유시 산문시 현대시조 우리 나라의 현대시조는 고대시조가 지니고 있는 기본 틀인 3장6구(三章六句)라는 정형성과 3·4조라는 음수율을 잘 지키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현대시조는 파격을 서슴지 않는 속성도 가지고 있다. 육당 최남선은 시조 .. 創作벽장 2007.08.06